-
오늘 김 약사가 말씀드리려고 가져온 의약품은 화미진입니다 저번에도 한번 포스트를 통해 화미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는데 오늘은 지난번 포스트에 이어서 파미딘정의 성분에 대해 더 자세한 이야기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그럼 저번 포스트에 이어서 오늘도 시작해볼까요? 레이고! 레이고!
위산이 문제야?
파미딘은 위산과다, 가슴앓이, 신장 트림에 효과가 있는 의약품입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는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역류성 식도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의 경우 기본적으로 위산이 과다하게 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만. 필요 이상으로 위산이 분비되어 위벽에 염증이 생긴 것이 위궤양이 되거나, 이러한 염증이 위와 대장을 연결하는 십이지장이 되면 십이지장궤양이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반대로 위에 내려 있던 음식이 다시 위로 역류하는 병입니다. 이때 역류하는 음식에 위산이 섞여 있으면 식도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역류시 pH를 4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위산을 조절하기 위한 약물인 화미딘을 사용합니다.
화미진속의 화모티진은 어떤 역할을 할까.
파모티딘은 위산 분비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입니다. 흔히 위산과다를 치료하기 위해 일반 의약품에서 사용되는 약은 말 그대로 산을 억제하는 제산제와 파모티딘처럼 위벽에 작용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이 있는데 파모티딘을 H2수용체차단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H는 히스타민을 뜻합니다. 혹시 히스타민? 익숙하신 분도 있을까요? 히스타민은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질환과 관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항히스타민제라고 하면 알레르기성 질병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근데 사실 히스타민은 H1, H2, H3, H4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알레르기나 가려움증 등에 사용하는 항히스타민제는 정확하게 H1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입니다.
그에 반해 파모티딘은 H2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인데 H1수용체가 감각신경을 자극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하면 H2수용체는 위점막, 즉 위벽에 분포하여 음식물을 섭취하면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파모티딘이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배경은 이 위산을 촉진시키는 H2 수용체를 억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파모티딘이 함유된 파미딘을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제, 억제제 또는 길항제 등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오늘 김 약사가 본 의약품은 위산과다증상에 복용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 화미딘과 화미딘속의 주요성분인 화모티딘이었습니다.
만약 화미진 성분보다 화미진정의 복용 방법과 효능, 부작용 등을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에서 김약사의 이전 포스트를 확인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부천의 속편 한약사~ 한약사! 김약사입니다 :) 오늘 김약사가 말하려고 가지고 온 의... blog.naver.com
또한 기타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네이버 톡톡으로 김약사님께 문의주세요~ 근무하는 틈틈이 답변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 김 약사님은 오늘도 여기서 인사드리겠습니다~오늘 하루도 다들 속편~ 하루를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