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 중등 역사 한국사 공부하는 법 백제왕 계보 시기별 순서카테고리 없음 2021. 11. 16. 11:42
백제왕의 족보, 시기별 순서, 초등 중등 역사, 한국사를 공부하는 방법
오늘은 백제왕을 보았어요.백제 부분에는 혼동하기 쉬운 왕이 있으실 텐데요.백제도 신라와 동시대에 고대국가에 속합니다. ~ 계보를 뒤지며 초등사와 중등사를 공부해보고 고등한국사까지!!
시작해볼까요?
1대 온조왕 B.C 18~A.D 28 고구려의 세 번째 왕자인 온조가 백제를 건국한다.
2대 달왕 28~77년 온조왕의 장남
3대 기루왕 77년~128년 기루왕의 장남
4대 개루왕 128년166년 기루왕의 맏아들.
5대 초고왕 166년~214년 개루왕의 장남
6대 구수왕 214년~234년 초고왕의 장남
7대 사빈왕 234~234년 젊은 나이에 정사를 견디지 못하고 폐위되었다.
8대 후 이왕 234년~286년 개루왕의 차남 삼국 중 한강유역을 먼저 차지율령 반포, 관리등급 마련(6좌평) 등 중앙집권체제 정비
9대 책계왕 286년~298년 효이왕의 장남
10대 분서왕 298304년 책계왕의 장남
제11대 비류왕 304년~344년 구수왕의 둘째 아들
12대 계왕 344년~346년 분서왕의 장남
13대 근초고왕 346년~375년에 백제의 전성기를 이룬 왕, 왕위부자 상속·확립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킨 가야왜와의 교류, 고구려 신라 견제
14대 군수왕 375~385년 군초고왕의 장남
제15대 침류왕 384년~385년 불교 수용과 백성 사상을 통합하고 왕권 강화
제16대 진사왕 385~392년과 제392년에 광개토대왕에게 패배하여 영토를 상실한다.
17대 아신왕 392405년 침류왕의 장남 광개토대왕에게 크게 패하였다.
제18대 전지왕 405~420년 백제의 최고관직인 상좌평을 처음으로 설치하였다.
제19대 귀신왕 420~427년 전 왕을 맞아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송나라와 외교관계를 맺는다.
20대 비유왕 427~455년 옛 이친왕의 장남 고구려 견제를 위해 신라, 왜, 송 등과 우호관계 형성
21대 개로왕 455~475년(475년) 장수왕에게 한강유역 일대를 빼앗기고 전사
22대 문주왕 475년~477년 개로왕의 맏아들 웅진(熊津)으로 도읍을 옮긴다.
23대 삼근왕 477년~479년 문주왕의 장남
제24대 동성왕 479~501년 신라왕실과 혼인관계를 맺는 고구려의 남진정책에 대응하는 신진세력 등용
제25대 무령왕 501~523년 동성왕의 둘째 아들 지방에서 제22담로를 설치한 왕족을 파견하여 중앙집권체제 강화
26대 성왕 523~554년 무령왕의 아들 사비성으로 도읍을 옮겨 백제의 부흥을 이끈 왕, 554년 진흥왕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함나제동맹이 결렬되었다.
제27대 위덕왕 554~598년 성왕의 장남
28대 혜왕 598년~599년 성왕의 둘째 아들
29대 교황 599년~600년 혜왕의 장남
30대 무왕 600년~641년 교황의 아들 서동 설화가 전해지는
제31대 의자왕 641년~660년 무왕의 맏아들 백제의 마지막 왕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멸망
백제 초기에는 별로 업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다른 나라에 비해서 뭔가 부족해 보이는 건 사실이에요.하지만 후백제 등 또 계속되니까 재미있게 공부해보세요. ~